본문 바로가기

2000 -

2000 - 2001년 수묵 사군자를 그려내다

  

 

중국 화조화의 소재는 각종 꽃.식물.곤충.동물(어류.조류)등 다양합니다. 다양한 소재 중 굳이 매.난.국.죽을 선택한 이유는 수묵사의화의 기초로 여겨질 만큼 소재의 비중이 있었고 또 하나의 이유는 집약적인 형식의 구도로 표현된 작품(사군자)들을 많이 보았기에 그러한 최소한의 표현으로 강렬한 느낌을 전달하는 화면의 구성법을 터득하기 위해 사군자 시리즈로 전시를 개최 하였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18살 미술실의 문을 여는 순간부터 그러한 집약적인 화면의 구성을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2001년   신구조화(新舊造化)Ⅵ      한지..튜브 물감        30 X 45cm

                  신구조화(新舊造化)- 말 그대로 오래된 것과 새것의 조화로운 모양새를 뜻합니다.

                                       

 

 

 

 

 

 

 

 

                            신구조화Ⅱ - 2001년 한지.먹.튜브 물감 21 X  23cm

 

 

 

 

 

 

                                  신구조화(新舊造化)  2001년  한지.먹.튜브 물감  18 X 32cm

 

 

 

 

 

 

                                 신구조화(新舊造化)Ⅰ  2001년  한지.먹  21 X  38cm

 

  

 

 

 

 

                                              

                                                 2001년 신구조화(新舊造化)Ⅳ  한지.먹  22.5 X 47.5cm

 

 

 

 

 

 

                2001년 도첨죽Ⅰ - 한지. 수묵 98cm X 67cm

 

               도첨죽(刀尖竹) - 그림으로 그려낸 대나무 잎의 기운이 마치 칼끝처럼 날카롭다는 뜻 입니다.

                

 

  

 석사연구생 졸업창작

    

 - 전시 서문-

 

오늘 여러분께 선 보이는 전시는 본기의 졸업을 앞둔 中國畵系 花鳥전공 석사연구생박근표 군의 졸업창작 전시입니다.

 

 

 

중국의 화조화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이 심후하게 싾여서 아주 풍부한 예술언어가 형성됨으로써 발전 하였습니다. 박근표 군은 사의화훼화(寫意花卉畵)를 자기 학습연구의 과제로 삼고서 스승의 지도하에 위로는 전통을 계승하고 바깥으로는 대자연을 스승 삼아서 개성을 중시하며 높은 미적경지를 추구 하였습니다.

 

 

 

“화조연구생 졸업창작전”은 다만 새로운 출발점의 시작에 지나지 않으며 배움은 영원한 것입니다. 모두의 비평과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 중국미술학원 - 

 

 

                                                 

 

 

 

 

 

                                          2001년 도첨죽Ⅱ 닥지 .수묵- 62cm X 144cm

 

                  여느 수묵화와 달리 짙은 먹색은 피하고 오직 중간톤과 엷은 톤으로 작업하였습니다.

                  마치 이른 새벽의 안개 낀 대숲을 바라보는 느낌도 들곤 합니다.

                                                           

 

 

 

 

 

                                   2001년  목황(沐篁) 한지. 먹  50.5 X  67.5cm

 

      목황(沐篁) - 하늘을 향해 자라나는 어린 잎들의 표현이 아니고 비에 맞아서 잎의 방향이 아래로 처진 

      혹은 자라난 잎의 무게로 자연스레 아래로 처진 대나무(잎)그림을 지칭합니다

                                                       

 

 

 

 

 

 

                                   목황(沐篁)   2001년  한지.먹  46 X  68cm

 

                                   동양의 천재 石燾(석도)의 작품을 연상하며 완성한 작품 입니다

                                   

 

 

 

 

 

 

                                2001년  목황(沐篁)  한지.먹 47 X 70cm

 

 

 

 

 

 

 

 

                     2001년  목황(沐篁)Ⅳ  한지.먹  35 X  52cm

 

                  소품이지만 구도 먹의 농담 작품의 여운 등.. 경쾌하게 표현된 작품입니다.

 

 

 

 

 

 

 

                               2001년  목황Ⅵ  한지 .수묵 73.5 X  96.6cm

 

                         아주 과감한 필치로 순간적인 먹의 번짐과 발색이 표현된 작품입니다.

 

 

 

 

 

 

                         2001년 곡선유희Ⅰ- 한지. 수묵 67cm X  61cm

 

                        곡선유희(曲線遊戱) - 난초그림은 곡선적인 요소가 강한 소재입니다.

                    마치 다양한 곡선을 가지고 놀이한다 라는 생각에서 붙여진 명제입니다.

                         

 

 

 

 

 

 

 

                                2001년 곡선유희Ⅱ-  한지 .수묵 21.7cm X 68cm

 

 

 

                   

 

                                             

                                         2001년 곡선유희Ⅳ. 숙선지 수묵 54cm X 18cm

 

 

 

 

                                                

                                        2001년 곡선유희 Ⅵ-  숙선지 수묵 54cm X 18cm

 

                              먹이 번지지 않는 숙선지 위에 먹색이 잘 표현된 작품입니다.

 

 

 

 

 

 

                                  2001년 추상Ⅰ.한지 수묵담채 69cm X 23cm

 

  추상(秋霜)은 추운 가을날의 서리를 뜻 합니다. 국화는 늦가을 서리를 맞으면서도 꽃을 피우기에 군자라 칭합니다.

           

 

 

 

 

 

 

                                2001년 추상Ⅱ - 한지 .수묵 47.5cm X  69.5cm

 

 

 

 

 

 

                              2001년 추상Ⅲ  한지 .수묵담채 45.5cm X 70cm

 

 

 

 

 

 

 

 

                        도첨죽(學 文同) - 95.7 X 58cm  석사과정 기간에 제작